맨위로가기

권주 종가 문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권주 종가 문적(權柱 宗家 文籍)은 조선 전기의 문신 권주(權柱, 1457~1505)와 관련된 고문서 및 전적입니다. 1989년 5월 23일에 보물 제1002호로 지정되었으며,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가곡리의 권주 종손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구성:


  • 고문서: 4종 7점으로, 교서(敎書), 유서(諭書), 교지(敎旨), 분재기(分財記)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교서: 1497년(연산군 3) 8월 국왕이 충청도관찰사 겸 병마절도사였던 권주에게 내린 훈유교서(訓諭敎書)입니다.
  • 유서: 관찰사에게 특권을 부여하는 내용입니다.
  • 교지: 문과 급제를 알리는 문서입니다.
  • 분재기: 자식에게 재산과 노비를 나누어 주면서 작성한 분배 기록입니다.
  • 전적: 5종 7책으로, 『성균관동방록(成均館同房錄)』, 『경수첩(敬守帖)』, 『선세수찰(先世手札)』, 『상대계첩(霜臺契帖)』, 『종남동도회제명록(終南同道會題名錄)』 등이 있습니다.

권주:자는 지경(支卿), 호는 화산(花山)이며, 본관은 안동입니다. 1474년(성종 5) 진사시에 합격하고, 1481년(성종 12) 친시(親試) 갑과 2인으로 급제했습니다. 공조정랑(工曹正郞) 시절에는 중국어에 능통하여 요동에 질정관(質正官)으로 파견되기도 했습니다. 이후 응교, 도승지, 충청도관찰사 등을 역임하다 예조참판에 이르렀으나,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 때 벼슬을 빼앗기고 귀양을 갔으며, 1505년(연산군 11) 6월 갑자사화 문제가 다시 불거져 사약을 받고 죽었습니다. 중종 때 신원되어 우참찬(右參贊)에 추증되었으며, 저서로는 『화산유고(花山遺稿)』가 있습니다.

권주 종가 문적은 조선 전기 사회, 경제, 제도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권주 종가 문적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권주 종가 문적
이름권주 종가 문적
구분보물
지정 번호1002
지정일1989년 5월 23일
소유자권종만
시대조선시대
수량일괄 (9종 14점)
소재지경상북도 안동시 퇴계로 1997 (도산면, 한국국학진흥원)
문화재청 ID12,10020000,37
참고한국국학진흥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